지금 노트북 계정이름 영어로 바꾸려고 난리치다가 레지스트리 복구 망해서
결국 윈도우 초기화 시켰음...ㅋㅋㅋ
,,,,,,
ㅠ.ㅠ
하여튼 그래서 앱들 다시 깔고 세팅하는 김에 자주 까먹는 거 정리
vscode에서 코드 실행하는 순서~.~
1. Terminal -> 맨 아래 configure default build task... -> C/C++:g++ build active file(2번째)
★이때 무조건 파일 이름에 확장자 쓰기 (안하면 저 빌드 선택지 안뜸) .c 나 .cpp ㄱㄱ
하면 .json 파일 생김 -> 저장
2. 다시 원래 코드에서 ctrl + shift + b로 빌드
하면 왼쪽에 실행파일 생긴 걸 볼 수 있음
3. 엔터키로 아래 터미널 닫은 다음에 ctrl + j 키로 입력하는 터미널 창 열고 실행파일명 입력하면 결과 뜸
근데 사실 맨날 까먹고 귀찮아서
정작 시프때는 학기 내내 걍 vi 메모장으로 코딩하고 터미널에서 검사했음
그게 더 익숙해서 편하긴 한듯
그래도 메모장에서 쓰는 건 하나하나 다쳐야되고 복붙할때도 귀찮으니까... 다음엔 vs로 해봐야겠다
끝~~~
'🌙CS > 시스템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공부 기록] Socket, File, Signal, Semaphore, Threadm, Process (0) | 2024.06.27 |
---|